구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결(口訣) 또는 입겿, 이토(吏吐)는 한문에 붙이는 한국어 토씨를 표시할 때 사용하는 문자이다. 한문을 쉽게 읽기 위해서 또는 올바른 해석을 위해 문법 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각 구절마다 한국어 토를 다는데 그것을 기록하는 데 한자나 한자의 약자체를 빌려서 사용하는 것이 구결이다. 향찰과 서로 상승 작용을 하여 함께 발달된 것으로 생각된다.
구결은 이두의 발달 과정에서 다시 한문의 원전을 읽을 때 문장의 뜻을 돕기 위하여 한자의 이두식 용법으로 발달한 것으로 한문으로 문자생활을 영위한 고려시대에 일찍이 한학자들에 의해 창안, 이용되었으리라 추측된다. 구결은 한글로 쓴 것이 아니고 한자의 획을 일부 줄여서 쓰기도 하고, 간단한 한자는 그대로 쓰기도 했다.
주로 한국어의 관계사나 동사 등 한문 구절의 단락(段落)을 짓는 데 사용되었다.
- 예
- 隱-는·은
- 伊-이
- 五-오
- 尼-니
- 爲稱-하며
- 是面-이면
- 是羅-이라
- 里羅-리라
이것은 한문을 국어화하는 준비 과정에서 볼 수 있으며, 불과 20-30자의 차용으로 매우 간결하다. 이두와 같은 점은 한자를 이용하여 우리말을 적은 점이며, 다른 점은 이두는 전문(全文)이 이두문자로 되었음에 대하여, 구결은 토(관계사)만 적었기 때문에 알기 쉽다. 다시 말해서 이두는 공문서·증서·소장(訴狀) 등에 사용된 일반 서민층의 소유물로, 그 표기에 있어서도 관계사·동사·부사 등 국어의 특수어에까지 미쳐 한문과 국어의 혼용이었으나, 구결은 성균관을 비롯한 향교(鄕校)·서원 등에서 상층 지식계급의 향유물로 그 표기의 범위가 극히 한정되었다. 구결은 훈민정음 창제 후 국문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자연 국문으로 대체, 사용되었다.[2]
한문을 해석하여 읽는 석독 구결(釋讀口訣)과 한문을 그대로 읽으면서 한국어의 기능어를 삽입하는 순독 구결(順讀口訣)로 대별된다. 석독구결은 고대에 발달하였고 순독구결은 비교적 후대에 발달하였다. 석독구결은 오랫동안 잊혀져 왔다가 최근에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자의 약자체로 만들어진 구결 문자는 일본의 가나 문자, 특히 가타카나와 그 형태나 유래가 비슷하여 이 둘의 연관성에 관해 학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구결은 순독구결로서 한문에 토를 다는 데 쓰는 약식 부호로서 쓰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편집] 컴퓨팅
구결 문자들은 일단 유니코드 내의 한자를 사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유니코드의 한자에는 구결에만 사용된 특수한 약자들도 상당수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에 별 무리가 없다. 그러나 이렇게 쓸 경우 정식 한자와 구분이 안 된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한양 PUA 코드에는 구결 글자들을 따로 만들어 포함시켜두었는데, 이것을 쓰면 문제점을 유니코드 한자를 사용할 때의 문제점을 많이 해결할 수 있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