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준길(宋浚吉) [동춘당 (문화원형백과 참고)] 본문 조선(朝鮮) 효종(孝宗) 때 대사헌<大司憲> 병조판서<兵曹判書>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지낸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 선생이 낙향하여 자신의 호를 따서 지은 별당<別堂>으로 우암 송시열<宋時烈>이 쓴 현판이 걸려 있다. 자그만 .. 조선의 한시 공부 2010.02.18
향찰 향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둘러보기, 찾기 향찰(鄕札)은 한자를 이용한 한국어 표기법의 하나이다. 주로 향가의 표기에 사용되었으며 고대 한국어를 분석하기 위한 자료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목차 1 개요 2 해독상의 어려움 3 향찰의 예 4 같이 읽기 5 참고 문헌 6 주석 [편집].. 언어 2010.02.18
리두 이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둘러보기, 찾기 중국 지명에 대해서는 이두 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두 개설서인 《유서필지》 이두(吏讀, 문화어: 리두)는 한자에 의한 한국어 표기법의 한 가지이다. ‘이서(吏書)’, ‘이도(吏道·吏刀)’, ‘이토(吏吐)’라고도 불린다. 삼국 시대.. 언어 2010.02.18